장마( long rain)
지난 겨울에는 유난히 춥고 눈이 많이 와서 그 좋아하던 여행을 뒤로 미루게 하더니, 금년 여름에는 장마가 심술을 부려서 역시 방콕하고 지내고 있다.
장마를 러시아어로는 자땨쥐늬예(затяжные), 일본어로는 바이우(梅雨/つゆ, ばいう), 중국어로는 메이유(중국어 간체: 梅雨, 병음: méiyǔ)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장마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닌 모양이다.
속담에 ‘오뉴월 장마’ 라는 말은 태음력(太陰曆)으로 말한 것이니 장마철은 양력으로는 6, 7월에 잇대어 오래 내리는 비를 말하는 것이다.
장마를 고어(古語)로는 ‘댱마’라 한다. ‘댱’은 ‘장(長)’으로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로 ‘장’으로 변하고, ‘마ㅎ‘는 ’비‘의 옛말이다.
(그림 출처: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나라 여름 날씨를 좌우하는 것은 따뜻한 북태평양 고기압(北太平洋高氣壓)이다.
이 북태평양 고기압이 겨울에는 하와이 근처에 머물러 있다가 6월경이면 서쪽으로 와서 우리나라 남쪽에 머물게 된다.
이런 따뜻한 북태평양 고기압(北太平洋高氣壓)이 한반도를 향해 내려온 오호츠크 해의 냉습(冷濕)한 고기압과 부딪쳐서 장마전선이 형성되며 장마가 시작되는 것이다.
오호츠크 해는 일본 북해도 위의 사할린 근처의 바다로 겨울에는 꽁공 얼어 있던 바다가 봄이 오면 시베리아 대륙으로부터 내려오는 눈 녹은 물과 함께 차디찬 오호츠크 해 북동쪽 하늘에 형성된 고한랭(高寒冷)한 오호츠크 해 한대전선(寒帶前線)이 6, 7월이면 한반도를 향하여 내려 오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한반도 남쪽에 머물러 있던 강력한 북태평양고기압(北太平洋高氣壓)에 밀려 북향하면서 장마는 계속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가뭄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3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 달 장마에는 못 산다.’는 속담이 있다.
가뭄은 농사 피해로 기근(飢饉)만을 몰고 오지만 장마는 인명피해는 물론 농토와 집과 가구까지 초토화 시킨다는 말이다.
이 장마와 함께 찾아오는 불청객(不請客)이 그 무서운 태풍(颱風)과 집중호우다.
집중호우(集中豪雨)란 1시간에 30mm 이상이나 하루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리거나, 연 강수량의 10% 정도의 비가 하루 동안에 내릴 때를 말한다.
장마철은 제주도에서는 6월 중순경, 중부지방에서는 7월 초순경 시작 되어 한 달 가량 계속되다가 7월 하순경에는 그 장마전선이 만주 지역까지 북상한 후 소멸하게 된다.
9월 초순경에도 이런 장마전선이 만주 지역에서 다시 형성되면서 남쪽으로 이동할 때 도 있다.
따뜻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오히려 약해지고 오호츠크 해나 대륙의 찬 고기압 세력이 강해지면서 남하하면서 장마가 계속 될 때가 있다. 이를 ‘가을장마’라고 한다.
그런데 기상대의 발표를 보니 금년(2013년) 장마는 43일 이상으로 1980년(45일) 이후 33년만에 가장 긴 장마라니 ‘장마 뒤에 오이 자라듯’이란 속담처럼 한참 자라야 할 채소, 벼농사는 물론 여름을 기다리며 사는 분들에게 금년은 지옥 같은 여름이 될 것 같다.
대개 장마 뒤에는 폭염이 계속되는 법이다. 금년 말복이 8월 12(월)일이니 그때라도 채소와 벼가 무럭무럭 자라서 농민의 주름살을 펴 주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 문헌 '민족문학대백과 사전', '동아백과사전' 외
'☎ 수필* (隨筆)☎'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럭시 S4 Late- A (0) | 2013.08.18 |
---|---|
ilman 둘째 누님 가시는 날 (0) | 2013.08.06 |
백도(白島) 기행 (0) | 2013.07.14 |
한 많은 미아리 고개 (0) | 2013.05.30 |
역동 우탁(易東 禹倬) 이야기 (0) | 201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