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녀성.
거문고자리 알파별이라고도 함.
북반구 별자리인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으며 밤하늘에서 4번째로 밝은 별.
직녀성/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본 베가
안시등급이 0.04이며, 태양에서의 거리가 약 26광년으로 비교적 가깝다. 분광형은 A(백색)이고, 광도계급은 V(주계열)이다. 분점세차로 인해 14000년경에는 지구의 북극성이 될 것이다. 서양에서는 베가라고 부르며, 동양에서는 칠월 칠석날에 견우와 직녀가 서로 만난다는 전설에 등장한다.
칠석(七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음식: 밀전병과 햇과실, 부잊을 장독대 위에 정화수 가족의 수명장수와 집안의 평안을 빈다.
처녀들 별을 보며 바느질 솜씨를 좋게 하여 달라고 기원 그 위에 고운재를 평평하게 담은 쟁반을 올려놓고 다음날 재 위에 무엇이 지나간 흔적이 있으면 연험이 잇어 바느질 손씨가 좋아진다고 맞는 것이다.
주나라 왕자 교(喬)가 봉황곡(鳳凰曲)을 울리며 신선이 되어 도사닌 부구공(浮丘公)의 부인과 만난 날이 칠석이다.
7월은 노염이 가시고 북두칠성은 기울어지고 비단 같은 은하수는 쏟아질 듯 화려하다. 그 동쪽에 수줍은 듯이 흐미한 직녀성, 찬란하게 빛나는 경우성이 서로 마주보며정겨워하는 듯하다. 여인에게는 걸교(乞巧),의복과 책을 바람에 쐬는 풍속도 있다.
찬바람에 밀가루 음식은 저리가고, 밀냄새가 나서, 생선은 넙치, 나물은 취, 고비떡은 증편에서 게피떡으로,
여름철의 대표적 별자리
은하수 한가운데 있는 크고 아름다운 별자리로,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20h 30m, 적위(赤緯)+43°이다. 꼬리 부근에 있는 α인 데네브는 견우성 ·직녀성과 더불어 커다란 삼각형을 그리고 있는데, 이를 여름철의 삼각형이라 부르며, 여름철 별자리의 기준이 된다. 북십자성이라고도 부르는데, 그 모습이 마치 백조가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가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특히, 백조의 부리에 위치한 알비레오라는 β는 청색과 오렌지색의 두 별로 이루어진, 북쪽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쌍성으로 알려져 있다.
• 여름의 대표적인 별자리: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허큘리스자리 등
*. 7월 칠석(七夕)
7월엔 기억해야 할 날이 많다.
7월 17일(수) 초복(初伏, 수, 7월 12일) 제헌절(制憲節, 7월 17일), 중복(中伏, 7월 22일, 월), 대서(大暑,23일 화) 등이다.
• 여름철 대삼각형: 백조자리의 데네브, 독수리자리의 견우성, 거문고자리의 직녀성이 삼각형을 이룬다.
<독수리 자리>
- 미소년 가니메데(Ganymede)를 트로이 언덕에서 납치하여 하늘로 데리고 간 공로로 별자리가 된 독수리다.
이 독수리는 제우스 신이 변신한 모습이라고도 하고 혹은 제우스 신의 심부름꾼이었던 독수리라고도 한다. 한편 하늘로 납치된 가니메데는 신들의 사랑을 받으며 청춘의 여신 헤베(Hebe)를 대신하여 신들에게 술을 따르는 일을 하였다고 한다.
독수리자리 동쪽에 있는 물병자리가 바로 술을 따르고 있는 가니메데의 모습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칠월 칠석의 전설 속에서 견우를 태우고 은하수를 건너는 배의 일부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찾는법
- 이 별자리를 찾는 길잡이 별은 여름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직녀(Vega)이다. 직녀의 남쪽으로 이 별자리의 으뜸별 견우를 찾으면 된다. 견우의 양 옆으로는 두개의 별이 나란히 견우를 시중들고 있다. 이 별자리는 견우를 위로 해서 우산을 펼친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
2)알타리 별(Altari, 견우)
- 칠월칠석의 주인공인 견우로 서양에서는 알타이르(Altair, 날으는 독수리)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견우는 백색의 0.77등급 별로서 온하늘에서 13번째로 밝은 별이며 지구에서의 거리는 16광년으로 무척 가깝다. 견우는 빠르게 자전하는 별로도 유명한데 한번 자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6시간 정도이다. 이러한 빠른 자전으로 견우의 모양은 타원형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견우는 거문고자리의 직녀, 고니자리의 데네브와 함께 여름밤의 가장 중요한 길잡이 별이다. 이 세 별로 이루어진 커다란 직각 삼각형은 '여름철의 대삼각형'으로 불린다.^
'세시풍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인 조상들의 만행/광복절 8. 15 특집 (0) | 2019.08.14 |
---|---|
개고기와 복날 (0) | 2019.07.12 |
하지(夏至, summer solstice)/ 6월 21일(목) (0) | 2019.06.18 |
3월 7일은 '참치, 삼치 데이(Day)' (0) | 2019.03.04 |
3월 3일은 '삼겹살 데이/ 국립공원의 날' (0) | 2019.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