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풍속

추석(秋夕) 이야기

ilman 2018. 9. 10. 12:54

추석(秋夕) 이야기 

 
고운 색 둘러입고 과일은 하산(下山)하고
아낙네 장바구니 가을이 가득하네
반달은
송편 얼굴로
고향 하늘 향하고.

  추석(秋夕)이 다가오고 있다. 
  추석은 가배(嘉俳), 중추(中秋),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는 가윗날, 한가위라고 한다.

가을의 한가운데에 속한다 해서 중추(中秋)라 하고, 명절(名節)의 하나라서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한가위란 말은 우리 민족 고유의 말로 '한'은 크다는 뜻이고, '가위'란 가배(嘉俳)의 어원 '갑(中)'의 가운데란 뜻에서 나온 말이다. 순수 우리말 '가웃'이 반(半)이란 뜻이고 보면 한가위란 큰 보름이란 뜻이 된다.

-신라 유리왕 9년 보름 한가위 날을 맞아 국내 6부의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두 왕녀(王女)로 하여금 백성들을 인솔 지휘 감독하여 7월 기망(旣望, 16일)부터 길쌈을 해서 8월 보름까지 짜게 하였다. 그 후 그 질과 양의 성적을 심사하여 승부를 결정하고,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긴 편을 대접하게 하였다. 이 날 달 밝은 밤에 위로는 임금과 백관 대신을 비롯하여, 아래로 서라벌 수십만 군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왕녀와 부녀자들이 밤이 지새도록 '강강술래'와 '회소곡(會蘇曲)'의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질탕하고 흠겹게 놀았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김부식)

 -중국 산동지방에 머무르고 있는 신라인들만이 8월 15일에 독특한 명절놀이를 하였다. 그 곳 노승의 말에 의하면 이 날이 신라가 발해와 싸워 크게 이긴 전승기념일이기 때문에 이 날을 명절로 삼아 백성들이 온갖 음식을 만들어 먹고 가무(歌舞)로써 즐기며 놀았다 한다.  이 절 역시 신라인의 절이므로 자기들의 조국을 그리워하며 8월 한가윗날을 맞아 명절놀이를 한다.                                                                    - 入唐求法巡行記(일본 승려 圓仁)
'열양세시기(김매순 )'에서는 한가윗날을 말하여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라 하였고, 전해오는 속담에서는 '5월 농부, 8월 신선’ 이라 하였다. 오는 비를 기다리며, 태풍을 걱정하면서 땀흘려 일하다가 맞게 되는 추석이라서 수확의 기쁨과 함께 햇곡식과 햇과일을 넉넉히 먹게 되는 데다가 날씨마저 여름처럼 덥지도, 겨울처럼 춥지도 않으니 신선 같다는 말이다.

*송편 이야기  

 8월 추석을 쇠는 민족은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지만 중국은 우리의 '설'인 '춘절(春節)'의 연휴가 8일인데 비하여 추석 연휴는 3일뿐이다. 일본은 추석보다 백중(百中)을 더 중요하게 쇠는 나라로 추석을 우리나라처럼 민족의 최대 명절로 쇠는 나라는 세계에서 오직 우리나라뿐이다.
우리 민족은 추석의 절식(節食)으로 반달 모양의 '송편'을 먹는데 비하여, 중국과 일본은 둥근 모양의  '월병(月餠)'과 '쓰키미당고(月見團子)'를 먹는다.

  다음은' 송편의 어원'에 대한 유래담이다.
송편을 만들 때 우선 햅쌀 가루를 뜨거운 물로 반죽하여 보름달 같은 둥근 모양을 만들어서 거기에 껍질을 벗긴 검은 콩이나 팥, 녹두, 밤, 대추, 게피 꿀 등의 소를 넣고 반을 접어서 반달 모양의 송편을 만든다. 그 아래 솔잎을 깔아가며 켜켜이 송편을 올려 놓고 쪄서 먹는 것이 송편이다.
이렇게 송편은 둥근 원과 반원을 함께 포유하고 있다. 한 마디로 송편 모양의 반원은 둥근 원으로 발전한다는 진행성이다.솔잎을 올려 놓는 것은 고물이 아니라서 붙을 수 있으므로 붙지 않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솔향이 송편에 베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래서 솔잎을 올려 놓아 만든 떡이라 하여 '소나무 '송(松)', 떡 '병(餠)'이라 하여 '송병(松餠)'이라 하다가 한자말 '병(餠)'이 순우리 말 의 '편(=떡, '절편'의 준말)'의 '송편'으로 바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데 우리 민족은 보름달이 뜨는 추석날에 왜 반달 모양의 송편을 만들어 먹는 것일까?
달이 가장 예쁜 때는 둥근 만월보다 보름을 향하는 반달 모양을 하고 있는 상현달(上弦-)일 때라서 그렇다고 할 수 있겠지만, 다음은 그와 관계 있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여 오는 전설적인 이야기다.
 
-백제 마지막 왕 의자왕이 어느날 귀신이 땅속으로 사라지는 장면을 목격하였다. 땅을 파보니 거북이 한 마리가 나왔다. 그런데 그 거북 등에 ‘백제는 둥근 달과 같고, 신라는 초승달과 같다’고 새겨져 있는 것이 아닌가.
왕이 궁금하여 무당에게 그 의미를 물었더니 무당이 대답하는 것이었다.
 “둥근 달과 같다는 것은 가득 차 있어 차츰 기울어진다는 것이며, 초승달과 같다는 것은 점차 가득 차게 된다는 뜻입니다.”라고 풀이했다. 듣고 보니 백제는 망하고 신라는 흥한다는 이야기인지라 의자왕은 크게 화내며 무당의 목을 베어 죽여버렸다. 허나 얼마 지나지 않아 무당 예언 대로 백제는 망하고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게 되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660년 9월) 
 그 뒤로 우리 조상들은 보름달보다는 반달 모양으로 송편을 빚어 먹었다는 것이다.
같은 날, 같은 재료로 만든 똑 같은 음식을 상하 빈부의 차이 없이 누구나 먹음으로써 서로 평등한 지위로 우리를 공유하게 되는 음식을 '절식(節食)'이라 한다.
송편은 맛을 내기 위하여 넣는 소의 종류에 따라 팥송편, 깨송편, 대추송편, 잣송편, 쑥송편, 소나무 껍질을 넣어 만든 송기송편 등 가지가지 종류가 각가지 색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송편을 예쁘게 잘 빚어야 시집을 잘 가고, 예쁜 딸을 낳게 된다 하며 추석 전날 집집마다 아낙네가 모여 제 각기 모양 내어 정성으로 만든 것에 솔잎을 켜켜이 밑에 깔아 찐다. 그래서 송편에는 솔잎의 향과 솔앞자국이 얽혀서 향취와 모양이 그윽한 떡이 된다. 그 솔잎에는 항산화와 항암작용을 하는 약효도 있다고 한다.
구태여 솔잎을 쓰는 것은 추위에 잘 견디는 세한삼우(歲寒三友) 중에 하나인 소나무 같은 강인함을 우리 민족이 숭상하기 때문인 것 같다.
  송편을 제대로 먹는 법 중에 하나가 눈으로는 송편을 만든 그 예쁜 여인의 손맛을 보며, 코로는 솔잎 냄새를 맡으며, 입으로는 약간은 딱딱한 껍질 맛을 즐기며 소의 맛을 볼 것이다. '소'란 맛을 내거나 음식을 익히기 전에 그 속에 넣는 껍질을 제거한 콩이나 팥, 꿀 같은 재료를 말한다. 
그러기에 만두는 소의 맛이요, 송편은 껍질의 맛이라고 하지 않던가.
옛날에는 송편을 나이 떡이라 하여 자기 나이만큼 먹는 풍습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소식(小食)이 건강에 좋다니 우리 같은 노인들은 나이 위 한 자리를 빼고 먹을 일이다.

*.추석 연휴  
추석을 전후하여 연휴가 시작되면 우리 민족의 대이동이 시작된다.
2020년안 금년 추석은 10월 1일(목)로 휴일인 토, 일요일이 겹쳐서 직장에 얽매어 살던 직장인들에게 마음 설레는 5일의 황금연휴(黃禁連休)이 시작된다.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바뀌어 가면서 도시로 간 사람들이, 그 자식과 그 손자손녀들을 기다리는 부모님 찾아 꿈에도 그리던 정든 고향을 찾아 떠나는 것이 연휴 행렬이다. 그래서 승용차가 가장 필요한 때도 요즈음이다.
그래서 고향 가는 길이 아무리 막히고 힘들어도 행복한 마음이 되어 하루하루 추석을 손꼽아 기다리며 살게 된다. 객지를 살던 사람이 가장 행복한 때요, 도회가 고향인 사람들이 오히려 외로운 때가 오고 있다.
도회에서 나서 도회서 자란 나는 부모 살아계실 때는 어버이가 고향이더니 늙다리 되고 보니 나도 자식의 고향이 되고 말았다.  
동구밖 느티나무서 짖어대던 까치소리
사랑방의 아버지 귀에 익은 기침소리
우리도
고향 되는 늙다리로
기다리네, 아들 손자 


이런 귀성(歸省) 길은 추원보본(追遠報本)을 위함이다.
자기가 태어나서 자라게된 근본을 잊지 않고 조상의 은혜를 갚는다는 말이다.
그래서 벌초와 성묘와 차례를 지내기 위한 위선(爲先)의 길이라서 귀성(歸省)하여 제일 먼저 이를 서두룰 일이다.
명절을 맞이 하여 어버이와 조상님께 보은(報恩)하는 길로 우리가 살아 생전에 할 수 있는 것이 성묘와 아침의 차례이기 때문이다.
예서(禮書)에도 말하기를 '제왕(帝王)은 하늘에 제사 지내고 제후(諸侯)는 산천에 제사 지내며, 사대부(士大夫)들은 조상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라고 하였다. 백성들은 사대부에 준하여 차례를 지낸다. 하였다. 
옛날에는 음력 매달 초하룻날,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던 제사가 차례(茶禮)였지만 오늘 날에는 설날과 추석날 아침에만 지내는 속절제(俗節祭)가 되고 말았다.
 나라에서는 이를 축하하기 위해서 귀성 차량에게 고속도로 비를 면제 해 주고, 고궁은 무료로 축하해 주는 이 추석이 2020년에는 이 모두를 생략한 체 귀성을 만류하고 있다. 2019년에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 역병 때문이다.
 방역을 위해 성묘나 귀성마저 나라가 금하고 있어 제주 여행이 하늘의 별 따기 정도로 여려운 시대가 되고 말았다. 오래 살다보니 별일도 다 보는 것 같다.                                  

 
 
 
 
 
 
 
 
 
 
 
 
 
 
 

         

 

'세시풍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군의 날/10월 1일  (0) 2018.09.28
추분(秋分) 이야기/ 9월 23일  (0) 2018.09.15
가을 이야기  (0) 2018.09.05
111년만에 폭염경보(暴炎警報)  (0) 2018.07.25
현충일(顯忠日)/ 6월 6일  (0) 2018.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