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몽마르트 낙산(駱山)
좌청룡(左靑龍) 낙산(駱山,)이 우백호(右白虎) 인왕산(仁王山)이 북현무(北玄武) 북악산(北岳山)과 남주작(南朱雀) 저 남산(南山)과. 서울의 내 사산(內四山)이 되어 우리 서울을 지킵니다. -서울의 내 사산(內四山)
서울의 몽마르트라는 낙산(駱山) 가는 길은 지하철 4호선 혜화동역에 내린다.
파리에 있는 5개의 언덕 중 그 중 가장 높다는 것이 해발 130m로 몽마르트 언덕이다.
파리의 상징이자 낭만이 되는 시민을 넘어 세계인의 휴식처가 되는 곳으로, 우리의 125m 낙산과 비교하여 낙산을 한국의 몽마르트라 하였다면, 낙산 기슭의 옛날 서울대 부지였던 대학가는 서울의 하이데르베르크로 명명하고 싶다.
라인강의 지류인 네카 강변 따라 하이델비르크의 사각형으로 사암을 깎아 만든 길이 영화 ‘황태자의 첫사랑’으로 인하여 세계인들을 유혹하고 있는 대학가로서 자고로 독일 젊은이들의 거리라면, 우리의 마로니에 공원과 그 앞의 혜화동에서 종로5가로 해서 청계천으로 이어지는 길은 한강으로 흘러가던 그 복계천 길이어서 가을이면 노랗게 물들던 은행잎에다가 그 위에 펼쳐진 찬란한 조각들의 군상들이 그런 생각을 갖게 한다.
언 제 이렇게 수많은 조각들을 만들어 놓았는가. 산을 가겠다는 발길을 나도 모르게 흥분된 마음으로 종로5가까지 돌리게 하였다.
이곳은 젊음의 쉼터요, 만남의 광장이라서 실용적인 뜻에다가 미적 조각미를 감안한 것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긴 의자, 주사위 등. 의자 하나하나가 아무리 바삐 가는 길이라도 앉아 쉬어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도록 각각의 조각마다 이야기가 예술과 얽힌 의자였다. 그 재료가 오석으로 나타나다가 나무를 만나면 꽃밭의 사각형 둘레석이 되는데 거기 앉는 이는 그대로 그 꽃밭의 일부가 되게도 한다.
마침 지나가던 초등학생 어린이가 있어 저건 뭐냐고 물었더니 아이스크림을 먹고 응아한 거시기라며 웃는다.
이 거리의 모습은 개선문에서 콩코르트 광장으로 이어지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샹 젤리 거리보다 더욱 다양하고 아름답다면 지나친 말일까? 마로니에 공원조각에는 지난날 그 자리에 있었던 나의 모교의 건물의 기념 모형비가 있어 가난했던 고학시절의 나의 옹색한 학창을 뒤돌아보게도 한다.
그 앞에 비가 있어 가보니 다가오는 것은 저 유명한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비(五友歌碑卑)다.
서울대학교 본부가 있었던 이 마로니에 공원이 바로 우리나라 근대 시조문학의 거성 윤선도의 선조 때(1587년)의 생가 터였던 곳이다.
고산 선생이 수석송죽월(水石松竹月) 같은 말없는 사물에다가 뜻과 마음과 정을 주고 보길도의 풍경을 노래하며 살던 것처럼, 나는 꽃과 호수의 도시 일산(一山)에서 노후를 보내면서 국내외의 아름다움을 찾아 어디에 있는 무엇이 어떻게 얼마나 아름다운가를 시조 노래하며 수필로 해석하며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
성터 따라 가보는 것이 낙산 산행의 진수(眞髓)려니 하면서 흥사단 건물을 지나 혜화동 로터리 쪽에서부터 산을 오르기로 했다. 어린이 놀이터를 지나 오르는 길은 점점 가팔라지는데 양쪽으로 다세대 주택과 연립주택들이 즐비하다. 드디어 층계가 나타나고 초여름 녹음이 시작되더니 싱겁게도 제3전망광장에 금방 올랐다. 혜화문에서 이어져 온 성터가 동대문까지 시작되는 곳이었다.
성을 올라 바라보니 달동네 넘어가 삼선교요, 그 너머 아파트촌이 미아리 고개를 좌우로 가르고 있는데 그 뒤에 희미하게 수락산과 불암산이 보인다.
서울 성광(城郭)은 태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2년 후 전쟁과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도적을 방지하기 위해서 20만명을 동원하여 세우고 세종 때 돌로 쌓았다. 당시 서울 인구가 6만5천명이던 시절이었다.
성은 높이가 12m, 폭이 4.3cm로 총 길이 18km로 서울의 북악산, 인왕산, 남산, 낙산의 능선을 타원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둘러가며 잇고 있다.
내가 가는 역사탐방로는 혜화문에서 동대문까지2.1km의 능선이다.
지금까지 내 기억으로는 낙산 정상까지 판자촌과 동숭동 시영아파트가 우후죽순처럼 들어 서서 황폐한 곳으로 남아 있었는데- 그게 아니었다.
정상 부근의 모든 판자촌과 아파트는 다 헐려 버렸고 성벽 따라 멋진 길이 정상이라는 놀이광장으로 열려 있다.
1966년부터 낙산 복원 사업이 시작되어 이젠 낙산공원이라는 이름을 갖고 시민들의 휴식처로 되돌려 진 것이다.
젊어서 이곳 가까운 집에서, 직장에서 20년 이상이나 근무를 한 내가 이렇게 캄캄하다니 다른 이는 말하여 무엇 하랴.
여기 오르기 전에 들렸던 혜화동에서 산다는 여직원도 마로니에 공원은 알아도 낙산공원을 모르고 있었다.
오르는 길은 길지가 않아서 힘들지가 않았고, 가끔 만나는 사람들도 가벼운 옷차림뿐 나처럼 등산 가방을 메고 온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img src="http://www.donginji.or.kr/Users/E/S/S/ESSAYLOVE/upload/DSCN0031놀이마당정상근.JPG">
제2전망광장, 제3전망광장에 이어 여기서는 가장 높다는 곳이 놀이광장이라는데 그 위의 더 높은 곳에 양옥집 하나가 깃대를 세우고 철조망을 보기 싫게 둘렸다. 군부대였다. 125m밖에 안되는 낙산이지만 그래도 이 산은 도성을 지키는 수호산이라 지금도 저렇게 수도 서울을 지키기 위하여 우리의 젊은이 군인들이 초소로 서 있는 것이다.
산의 정상인 깃대봉 주변은 지금도 창신동 달동네였다. 옛날에는 '요꼬'라고 하는 세타 등을 짜는 간이 수공업 공장이 많았다. 그 많은 직공들이 즐겨 먹으려 찾던 것이 냉면이어서 지금도 낙산명물로 남아있다. 충신동성터냉면집, 깃대봉에서 창신동으로 내려와 있는 깃대봉냉면집들의 역사가 20년을 훌쩍 뛰어넘는다.
마침 점심시간이라 낙산 정상에서 마을버스(낙산-동대문) 회차 지점을 지나 조금 내려가 3거리에 있는 낙산공원의 대표라는 낙산냉면집을 찾았다.
12시가 훨씬 지났는데도 층계 밑으로 내려가 있는 좁은 골목길에는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이 집에서는 제일이라는 특냉면을 시켰더니, 냉면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식성인데도 입에 꽉 당겨오는 얼큰이 냉면의 환상적인 맛이라니-. 언제 아내와 다시 한번 와야겠다. 친한 친구 불러 함께 들러야겠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이 낙산냉면집에서 아래로 쌍용아파트를 조금 지나면 비우당이란 초라한 집이 있다.
비우당이란 ‘비’가 오면 방 안에서도 ‘우’산을 바쳐 비를 피한 집 ‘堂’(당)이라 해서 비우당이라 했다는 조선 초의 청백리 정승인 유관 선생의 자택이었다. 날마다 부패 정치인들의 이야기를 접하며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얼마나 부러운 삶인가를 돌아보게 한다.
마을순환버스 회차지점 부근 성터 바로 아래에 낙산의 유래가 표지로 서있다.
낙산(駱山)은 산모양이 낙타의 등과 같다고 하여 '낙타산(일명 타락산)' 또는 준말로 그냥 낙타 '駱山(낙산)'이라 하였다.
당시의 풍수사상으로는 주산인 북악의 동쪽에 있으므로 우백호 인왕산에 대치되는 좌청룡에 해당되는데 경복궁 건축 방향을 두고 정도전과 무학대사와 사이에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하여 온다.
경복궁은 주변 형상으로 보아 암산(巖山)인 인왕을 주산으로 삼아 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북악산이 좌청룡(左靑龍), 남산이 우백호(右白虎)가 되어 청룡 주작(朱雀)․ 백호(白虎)․ 현무(玄武)가 잘 어울리게 되고 북악과 일직선상에 놓은 관악산(冠岳山)이 불산[炎山]이라서 나라에 변고가 많다는 것이 무학대사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척불(斥佛) 숭유(崇儒)의 유학자이며 개국 일등 공신인 정도전은 의견이 달랐다.
“예로부터 임금은 남향[南面]하여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자고로 동향하여 다스린 예는 없사오니 한갓 중의 주장은 불가하옵니다.”
신라 때 의상대사의 산수기(山水記)에는 그렇지 않을 경우를 이렇게 예언하고 있다.
“한양에 도읍을 정하려고 하는 이가 스님의 말을 듣고 따르면 나라를 연존(延存)할 수 있으나 정씨 성 사람이 시비하면 5세도 지나지 않아 왕가의 재앙이 있으며 200년이 지나면 국난을 당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왕가의 재앙은 북악이 주산일 경우에는 동의 낙산이 좌청룡이 되고 동은 동궁처럼 세자에 해당하는데 낙산은 산세가 길게 뻗지 못한데다가 다른 산보다 허하므로 맏아들이 왕으로 등극한 경우는 이조 560년 동안 3, 4번뿐이어서 안으로는 왕위 계승으로 정권 다툼이 많았고 예언대로 개국 후 200년 뒤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났는 것이다. 그래서 서울의 4대문의 이름은 돈의문(서:敦義門), 숭례문(남, 崇禮門), 숙정문(북, 肅靖門) 석자뿐인데 동대문의 현판만은 興仁之門(흥인지문)으로 산맥 모양의 갈 ‘之’(지)를 더하여 부족한 낙산의 기를 보하게 하였다.
손우성 저서 ‘터’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다.
“정도전의 주장에 따라 경복궁을 남향으로 하여 짓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어느 날 무학대사가 논가를 지나가고 있는데 논을 매던 한 노인이 이상한 소리로 소를 나무라고 있었다. ‘이랴, 이 무학보다 미련한 놈의 소!' 이상하게 생각한 무학의 물음에 노인의 답은 이러하였다. ‘한양 땅은 학(鶴) 모양의 터인데 등에 무거운 짐을 실었으니 학(鶴)이 날개를 다칠 것이 뻔한 이치가 아닌가. 그러니까 아무리 공들여 쌓아도 궁궐이 무너지지. 그러니까 성부터 쌓아야 한단 말일세.’ 그래서 경복궁은 성이 먼저 축조된 다음에 궁궐이 지어지게 된 것이다.”
놀이 광장의 서울 전망은 일품이었다. 인왕산에서 보던 전망보다 우람한 인왕과 북악과 남산의 전경을 어우를 수 있는 곳이 여기 이외에 더 어디 있겠는가.
여기서부터 나무 층계가 아래로 내려가고 있고 그 동쪽 편에 8각정이 있다. 낙산정(駱山亭)이었다. 그 옆에 밭이 있는데 저것이 흥덕이네 밭인가 보다.
홍덕이란 신하가 병자호란 때 봉림대군(후의 효종)이 심양으로 볼모로 잡가 있을 때 채소를 가꾸어서 김치를 담가 아침저녁 지성으로 드렸는데 볼모에 풀려 귀국하여 왕이 된 효종은 그때 그 김치 맛을 잊을 수가 없어 낙산 중턱에 채소밭을 흥덕이에게 주어 김치를 담가 바치게 하였다는 밭이다.
낙산 정에서 바라본 서울은 아름다웠다. 파란 녹림지역을 이룬 비원과 종묘와 창경원 너머 서울을 빙 둘러 싸고 있는 인왕산과 북악산은 너무나 아름다웠다. 그 앞이 명륜동과 동숭동 일대이다.
바로 이 정자 아래 '낙산전시관'이 있다. 조선시대부터 6․25로 무성한 판자촌 모습과 경제 개발인 한창일 때 동숭동 아마트 시대를 지나 정리된 현재까지 낙산이 변천되어온 모습과 낙산에 얽힌 사진 자료를 소개하고 있는 곳이다.
2021. 7 수정
'☎ 일만 산행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 산하의 춘하추동 (0) | 2013.01.25 |
---|---|
춘천 청평산[오봉산] 산행기/ Photo 에세이 (0) | 2013.01.15 |
각흘산/ (0) | 2012.12.02 |
바래봉 산행기 (0) | 2012.12.01 |
왕방산 (0) | 201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