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날과 개고기.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정학유) 8월령에 개 잡아 먹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며느리 말미받아 본집에 근친(近親)갈 제
개 잡아 삶아 건져 떡고리와 술병이라. 초록 장옷 반물치마 장속(裝束)하고 다시 보니 여름 동안 지친 얼굴 소복(蘇復)이 되었느냐. 위에서 나는 삼복(三伏)에서 '伏(복)' 자는 사람 인(人)과 개 견(犬)자가 합친 회의문자(會意文字)이지만 글자가 그럴 뿐 문헌상으로 개잡아 먹는 날이 복날이라는 뒷받침할 만한 기록이 없다는 것을 역설하였다..
그런데 사람들은 복날에 왜 개를 잡아 먹는 것일까?
식자들은 그보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이론에서 왔다 한다. 이에 의하면 개는 오행(五行)에서 '금(金)'이고 더위(伏)는 '화(火)'이다. 그러므로 금극화(金克火)로 금(金)이 화(火)를 누르므로 더위를 누른다는 금(金)인 개고기를 화(火)인 복날에 먹는다는 것이다.
우리 조상들은 이렇게 개고기를 먹음으로써 이열치열(以熱治熱)하여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시켜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야기도 있다. 일년 중 가장 덥다는 삼복(三伏) 기간에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람의 몸은 자율신경에 의하여 위(胃)에 가야할 피가 피부에 많이 몰린다. 그래서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이면 입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만성피로에 시달리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육류로 보신(保身)을 해야 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여유가 없던 서민들은 다른 도리가 없었다.
그렇다고 농경사회에서 재산 중에 재산인 소나 돼지를 잡아 먹을 수도 없고 해서, '伏(복)'의 '人' 변에 개 '犬'이라는 한자의 글자 모양만 보고 개를 잡아 먹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삼강오륜 속에 묶여 살던 그 엄격하던 전통 사회에서, 사람 가까이 살면서 근친상간(近親相姦)을 일삼는 동물이 바로 개라. '개XX' 하며 욕(辱)마다 험하고 심하게 써먹던 '개'를 어떻게 먹을 수 있을까.
그래서 옛날에도 오늘날처럼 개고기를 혐오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 사람이나 여성들은 복날이 되면 삼계탕(蔘鷄湯)이나 육개장(肉개장)으로 개장국을 대신하였다. 그러면 육개장은 개장국인가 아닌가? 오늘날의 육개장이란 쇠고기 곰국의 하나다. 기름기가 없는 살코기를 통으로 고기 맛이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푹 삶아서, 알맞게 뜯어 온갖 양념을 넣고 다시 얼큰하게 푹 끓여서 후후 불어가며 땀흘리며 먹는 여름철의 음식이었다.
푹 고았으니 위에 부담이 적을 것이고, 그 매큼한 맛은 더위에 잃어버린 식욕을 촉진시켜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체내 신진대사를 촉진키는 피서(避暑)의 절식(節食)으로 옛사람들은 육개장을 즐겨 먹었다.
그런데 가만히 육개장의 조리 방법을 살펴보면 개장국과 똑같다. 그래서 육개장은 원래 개장에서 나온 말이라는 데에 수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육개장(肉개장)'으로 나온다. '개장'은 순우리말이라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지 않은가. 처음에는 탕에다가 개고기를 넣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현대에 가까와 오면서 개고기 구하기가 힘들어지자 쇠고기를 넣어 끓였기 때문에 오늘날의 육개장이 탄생한 것이리라.
그 개장국을 우리 민족은 언제부터 먹기 시작하였을까?
-'사기(史記)'에 이르기를 진덕공(秦德公)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蟲災: 벌레가 주는 재해)를 방지했다 한다. '논어(論語)'에도 제사에 개고기를 쓴다는 기록이 있고, '소학(小學)'에도 제사와 손님 접대에 군자(君子)는 소를 쓰고, 대부(大夫)는 양(羊)을, 일반 선비는 개를 쓴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 고구려 벽화에도 개잡는 장면이 있다.
그러니까 개고기의 역사는 공자의 춘추시대(春秋時代)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것이 중국을 통하여 우리 한반도 고구려 이전에 들어온 음식인 것이다.
복날이 되면 나라님은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과(氷菓)를 주고, 궁 안에 있는 장빙고(藏氷庫)에서 얼음을 나눠주었다. 민가에서는 복날 더위를 피하려고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가지고 계곡이나 산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었다. 그러나 금(金)이 화(火)에게 눌린다 하여 복날을 흉일(凶日)로 여기고 복날에는 씨앗 뿌리기와 여행이나 혼인 등을 삼갔다.
개고기의 효능에 대한 문헌적 기록은 복날과 연관하여 참으로 많이 전하여 온다.
'열양세시'에서는 복날에 개장국을 끓여 먹으면 양(陽)을 도와준다고 하였고, '동국세시기'에서는 개장국을 먹으면서 땀을 내면, 더위를 물리쳐 허한 것을 보충해 준다고 하였다.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개고기를 먹으면 사람의 폐, 심장, 비장, 간장, 신장의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여 주며, 혈맥을 조절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골수를 충족시켜 주어서,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고 양도(陽道)를 일으켜 기력을 증진시킨다고 개고기의 효능을 극찬하고 있다.
개장국 감으로서의 개는 어떤 개를 상품(上品)으로 쳤을까? -개고기 중에서는 누런 황구(黃狗)를 으뜸으로 쳐서, 눈까지 누런 황구(黃狗)는 비장과 위를 보하여 부인들의 하혈(下血)에 명약(名藥)이라고 귀하게 여겨왔다. 꼬리에서 발끝까지 검은 흑구(黑狗)는 남자 콩팥인 신장(腎臟)에 아주 좋은 성약(聖藥)이라 하였다.
그러니까 고기로서의 개는 황구(黃狗) 다음에 흑구(黑狗) 다음에 얼룩개 다음에 백구(白狗)를 쳤던 것이다. 개장국에 대한 명칭에는 여러 개가 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보신탕(補身湯)을 위시해서 개장, 구탕(狗湯:보신탕), 영양탕(營養湯), 용탕, 사철탕, 지양턍(地洋湯), 멍멍탕이 있는가 하면 멍(M)멍(M)탕(T)이라 해서 MMT라고도 한다. 그런데 구탕(狗湯)이나 구육(狗肉)은 있어도 견탕(犬湯)이나 견육(犬肉)이라는 말이 없는 것을 보면 구(狗)는 식용이요, 견(犬)은 애완용 등으로 구별하여 길러온 것 같다.
북한에서는 개장국을 '단고기국'이라 한다. 북한의 단고기집을 보고 재미교포 김연수씨는 북한 방문기에서 다음과 같이 감격의 글을 쓰고 있다.
"우리 한민족이 단일 민족이라는 또 하나의 증거는 개장국에 있다."
이렇듯 보신탕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여름철에 즐겨 먹는 대표적인 여름철 음식이다.
개고기를 중국 천자가 즐겨먹던 음식이었다는 기록도 '예기(禮記)'에 보이고, 개고기는 중국인들의 제사에 올리는 주요 고기이며, 개고기를 이름하여 향육(香肉)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그러나 나는 개고기를 못 먹는다. 아파트에 이사 오기 전까지 단독주택에서 살았는데 그때는 꼭 개와 함께 산 애견인(愛犬人)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람을 알아 보고, 주인이 개장수에게 자기를 팔러 가도 끝까지 꼬리치며 따라가는 것이 견공(犬公)이 아니던가. 영어 'DOG'를 거꾸로 해보라. 'GOD'가 아닌가. '세모'를 거꾸로 하면 구약성경에 나오는 '모세'가 되는 것 같이-. |
|
'음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면 이야기 (0) | 2017.03.28 |
---|---|
껌(Gum) 이야기 (0) | 2017.03.22 |
만두(饅頭) 이야기 (0) | 2014.06.05 |
의정부 부대찌개 이야기-- 요 사진 (0) | 2014.03.30 |
감자탕 이야기 (0) | 201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