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방산(王訪山, 포천) 산행기
(2005. 12. 6/포천 한국A-약수터-유불선 탑-왕방산-왕산사/일산 한뫼산악회 대장 홍미화 연락처 016-372-2269)
왕방산(王訪山)은 동두천 시와 포천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포천의 진산(鎭山)이다.
한자로 왕방산(王訪山)이라 쓰는 것은 왕과 관련한 두 가지 전설이 전하여 오기 때문이다.
신라 872년 무렵이었다.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이 산에 머물고 있을 때 헌강왕이 친히 행차하여 도선을 격려하였다 해서 왕방산이라 했다. 함흥차사(咸興差使)와 연관 된 전설도 있다.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돌아오는 도중에 왕자들의 골육상쟁 소식을 듣고 마음이 아파 왕방사(지금의 왕산사)에 며칠 동안 머물렀다 해서 왕방산이라 했다는 이야기이다.
포천 이동교리에 용상동(龍翔洞)이란 마을이 있는데 이성계가 함흥에서 한양으로 돌아오는 도중에 하룻밤을 쉬었다는 곳이라 하는 것을 보면 위 이야기가 역사적인 사실이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 왕방산과 창녕 성씨와의 인연
한뫼산악회에서 왕방산을 간다고 하기에 주저 없이 자청하고 따라나선 것은 우리 성씨 문중과 왕방산은 특수한 인연이 있는 산이라기 때문이다. -이하 독자의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무례하지만 함자에 ‘字’를 넣는 것을 생략한다.
고려 말 우리 성씨의 시조 성인보(成仁輔) 할아버지의 증손자의 아들이 창녕 성씨를 빛낸 5대조 성여완(成汝完, 호 怡軒)이시다. 이헌 공께서는 고려 국에서 벼슬을 하실 때 이성계와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와 각별한 친교가 매우 두터웠다. 포은을 만나러 가다가 선죽교에서 포은이 살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집으로 되돌아와 애통했다는 말이 모시고 있는 족보에 전하여 온다.
이태조가 개국한 다음 서울을 한양으로 옮길 때도 절개를 지켜 함께 따라 나서지 않았다. 태조 4년이었다. 이 태조가 친구의 정으로 개경[개성]에 가마를 보내어 이헌 공을 초청함에 백의(白衣)로 참석하니, 정도전이 다음과 같은 7언 절구를 지어 두 분의 우정을 기렸다.
禁苑春深花正繁(금원춘심화정번): 궁 안에 봄이 깊어 꽃이 만발하려 하였는데
爲招嗜舊置金樽(위초기구치금준): 늙은 친구 초청하여 금잔에 술이 가득다
天工忽放知時雨(천공홀방지시우): 하늘도 홀연히 단비를 철 맞추어 뿌리시니
便覺渾身雨露恩(편각혼신우로은): 온몸에 우로 같은 성은 문득 깨닫겠네
그 후 태조의 부름을 피해 포천 왕방산에 들어가 묘덕암(妙德庵)을 짓고 은둔생활을 하며 스스로의 호(號)를 왕방거사(王方居士)라 하며 왕 씨(王氏)를 잊지 않았다.
삭망(朔望)이 되면 뒷산에 올라가 개경을 바라 통곡하며 옛 임금을 잊지 않았다 해서 사람들이 그 봉을 두문(杜門)이라 하였다는데 지금까지 그 이름이 전하여 오고 있다.
우리 성씨 가문에는 '두문동 실기'라는 책이 전하여 온다. 조선 초에 새 왕조를 거부하고 두문 동에 들어가 나오지 않은 고려 충신 72인에 관한 일을 성사제를 중심으로 한 그 후손이 엮은 책이다.
이헌 공 성여완 아들 셋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큰아들 독곡 석린(石璘)은 영의정, 둘째 회곡 석용(石瑢)은 대제학, 셋째 석인(石因)은 우의정을 지내어 초창기부터 명문 성씨 가문을 빛내었다.
우리 성씨는 단본으로 크게 자손을 세파로 나누고 있는데 독곡파(獨谷派), 회곡파(會谷派), 상곡파(桑谷派)가 인제공 성여완 할아버지의 자식들이다.
*. 왕방산 가는 길
왕방산 가는 가장 대표적이고 쉬운 길이 ‘포천읍-호병골-왕산사-왕방산 정상-한국아파트’ 코스다.
이 코스의 결점은 우이동에서 도선사 오르는 아스팔트 길 같이 한국 아파트에서 왕방사까지의 2.5km나 되는 지루하게 계속되는 아스팔트 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코스는 왕방사를 둘러보며 식수도 준비할 수도 있고, 오르는 길은 가파르지만 대신 거리가 2.1km밖에 되지 않아서 초심자라도 1시간 내로 오를 수가 있다. 정상에 오른 이후로는 6.1km의 완만한 주능선 길을 느긋하게 즐기며 하산할 수도 있다.

오르면서 금년에 가장 추운 날씨라는 뉴스에 집에서 중무장하고 온 옷차림을 양파 벗기듯 하나하나 벗으며 오르고 있다.
전국에 크게 설화(雪禍)를 입힐 정도로 많은 첫눈이 내린 지 며칠 후였지만, 여기는 자취 눈이 등산길을 덮고 있어서 그리 미끄럽지 않은 눈길 따라 우리는 초겨울의 왕방산 등산을 즐기며 오르고 있다.
정상까지는 6.1km, 정상서 왕방사까지 2.1km로 지금은 10시를 조금 넘었는데 4시까지 돌아오라 하니 오늘은 여유 있는 산행을 하게 되었다.
*. 술산 등산
어제는 7월에 백두산 종주를 함께 했던 시화공단의 박 형이 손수 담가 택배로 보내온 복분자 술을 동네 산꾼인 하 형과 함께 늦도록 과음한지라, 설사기 때문에 버스를 타고 오는 도중도 그랬지만 산에 오르면서도 위기의 순간을 몇 번이나 무사히 넘겼다.
내 이름 ‘성철용’의 ‘성(成)’은 조상이 주신 성(姓)이요, ‘용(鏞)’은 가까운 조상이 주신 돌림자다. 가운데 ‘철’은 철이 들라고 아버지께서 주신 이름 같은데, 고희 나이에도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나, 목숨을 걸고 술을 마시고 다니니 이를 어쩌랴. 그러나 아버님도 나 같은 술꾼이 셨으니 설마 용서를 안 하여 주실까.
양지 바른 곳에 있는 무덤을 지나서 통나무층계를 지나니 치악산 정상에서 보던 뾰족한 3기의 돌탑이 여기도 있는데 이건 뭔가.
정규현 씨란 분이 2,000년에 쌓은 포촌 수호의 탑이라는 ‘유불선지탑(儒佛仙之塔)’이었다. ‘유불선의 탑’이라고 하지 않고 구태여 ‘之’ 자를 쓴 것을 보면 이 탑을 쌓은 분은 70대를 훌쩍 뛰어넘은 유불선 사상에 심취하셨던 분인 것 같다.
포천시에서는 정상을 향하는 길목마다 시민들을 위해서 도중 도중에 체육시설을 하여 놓았는데 우리의 일행이 전을 벌이고 있다가 반갑게 술 한 잔을 권한다.
엊저녁 복분자술로 행복한 강타 당한 위장을 두고 '오늘은 술 한 방 울도 먹지 말아야지-' 한 맹세가 이 한 잔의 술로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나도 술 한 잔에 시 한 수로 떠나가는 성 삿갓이나 되어볼까?
저녁에 또 술이라.
목 숨 걸고 마셨지만, 후회 못할 우리라서
정 든 밤
한 잔의 술은
깨는 것이 아깝구려.
-술
*. 주능선의 시설물들
겨울산행의 멋은 땀이 숨으로 흐르는 것이요, 겨울 산의 멋은 나무 사이로 보이는 산 아래 전망이다.
그런데 우측에 꼬불꼬불한 길이 멋진 고개를 넘어가고 있는데 무슨 고개인가. 포천시내에서 서북쪽인 창수면을 넘는 무럭 고개였다.
왕방산은 완만한 산이었다. 약간의 땀을 흘리고 얼마를 오르면 긴 능선이 시작되는 그런 육산이다. 그래서 가족이 어린이와 함께 할 수 있을 정도로 평탄한 길이었다.
길은 모두 자취 눈으로 덮여 있었고, 발자국에 밟힌 오솔길이 약간은 낮았는가. 갈잎, 참나무 잎 등이나 솔잎이 소복이 쌓여 있는 것이 우리들을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나무들이 뜻을 모아 정성 들여 곱게 뿌려놓은 것 같다.
'☎ 일만 산행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자봉 (0) | 2007.02.11 |
---|---|
청평산 산행기 (0) | 2007.02.11 |
오봉(춘천) 산행기/Photo 에세이 (0) | 2007.02.11 |
내장산(內藏山) 단풍 (0) | 2007.02.11 |
내장산 백양사 단풍 산행 (0) | 2007.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