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나는 20여 년 이상 복용해 오던 고혈압 약을 끊고 먹지 않고 있다.
그동안 의사가 시키는 대로 처방하여 주는 약만을 먹다 보니 일러다가는 약 먹다 죽겠구나 하는 우려(憂慮)에서였다. 그래서 내 주치의와 상의해 보니 정색을 하며 책망해 온다.
"제가 다 생각해서 약을 조제하여 주는데 만약 그 약을 끊을 경우 불행이 닥치면 어떡하려고 그러느냐"고 말하는 의사의 말이 반 협박조로 들람다. 그러나 보니 옛날 약을 먹다가 중단하여 나은 생각이 난다. 백혈병으로 입원했을 때가 있었다. 혈소판(血小板)이 부족하여 여의도 X 백혈병동에 입원하여 세계적으로 백혈병의 권위라는 의사에게 치료를 받다가 퇴원하여 약을 먹고 있을 때가 생각난다. 약의 부작용인지 전신이 부어 하와이에 사시는 사촌 누님이 우리 집에 왔을 때 나를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얼굴이 부어 있을 때의 이야기다.
그 무렵 나는 병실에 누워 있고, 무료한 아내는 간병하다가 종종 병실문 밖에 나가 입원 환자들의 간병인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들은 말이라며 말한다. "의사가 주는 약을 먹고 나처럼 얼굴이 퉁퉁 부어 있을 때 다른 사람이 시키는 대로 혹시나 해서 약을 끊었더니 신기하게도 나았다."는 이야기였다. 당시 나는 여의도고(汝矣島高)에 근무하며 대입을 앞둔 고3을 맡아 지도하고 있을 때라 빨리 퇴원해야 할 입장이어서 약을 끊어보았더니 이게 웬일인가. 신기하게도 부기가 빠지고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가. 하두 기쁘고 신기해서 한 걸음에 주치의에게 달려가서 고했더니 축하해 주기는커녕 이 또한 웬일인가. 주치의가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지 않는가.
"고얀 사람! 주치의와 상의 없이 자기 몸으로 임상실험을 하다니-. 당장 나가,"라고 고함을 치는 것이었다.
그후 약을 먹지 않고도 신통하게도 멀쩡하게 나아서 그동안 끊었던 술도 다시 마시게 되고 지금까지 무탈하게 살고 있게 된 것이다. 그 후 마음 한 구석에는 의사를 부정하는 생각이 되살아나서 내 주치의에게도 의혹이 움트기 시작하였다.
이런 생각을 하다 보니 혈압약을 끊어볼까 하는 생각이 싹트기 시작한다.
매스컴에서는 고혈압을 먹지 않는 게 좋다는 기사(記事)도 있고, 일본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는 우리 의사가 말하는"120~130"이 아닌 "130~ 140"이라는 말도 있는 데다가, 혹시 우리 의사도 나이 기준으로 혈압약을 먹어야 한다고 굳게 생각하는 것 같아 넌지시 혈압약을 당분간 끊어 보는 것에 대하여 문의해 보니 완강히 협박조로 거부한다.
내가 지금 혈압약과 함께 먹고 있는 약이 무릎에 청홍합 약, 전립선 약, 비다민 C 등인데 그럴 리야 없겠지만 혹 내가 리베이트(rebert)의 피해를 받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하게 되었다.
하여 열심히 집에서 두달 정도 혈압을 재서 기입하여 보았더니 약을 먹지 않은 상태에서 오르락내리락하는데 140 이상인 경우는 드물었고 평균 132~5 대 사이를 오르내리고 있다. 올해인 2025년 건강 검진을 받으러 갔다가 그곳 의사들에게 혈압약 복용에 대하여 문의해 보았더니 혈압체크 노트를 주며 아침 몇 주간 검사한 것을 갖고 와서 다시 보자고 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알게된 것은 다음과 같다.
-검사는 아침, 저녁 2회로 하되, 아침은 기상 후 공복상태에서 1시간 이내에 소변을 본 후 약물 복용 전 측정한다.
-혈압을 재기 전 5분 이상 안정을 취하고, 심장 높이와 팔의 높이를 맞춘 상태에서 재는 동안 움직이거나 말하지 않도록 주의힌디/
-병원에서 의사에게 혈압을 측정을 받게 되면 환자가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혈압이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이를 '백의 고혈압(白衣高血壓)' 이라고 한다.
-저녁에 잴 경우는 누워서 잰다.
- 2025. 5. 30
'자료 스크랩 모음(주 조선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 요령/ 들숨에 4걸음, 날숨에 4걸음 (0) | 2025.05.19 |
---|---|
우리집 가보(家寶) 235원 (0) | 2025.05.04 |
못생긴 계집 엄금 (1) | 2025.05.04 |
축구장 난동/ 마스크의 역사 (0) | 2025.05.01 |
폐지 줍는 노인 1.5만 명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