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여행/ 옥천 성묘
자전거 여행을 떠난다. 충북 옥천(沃川)에 모신 우리 조부모, 부모님 성묘를 가는데 자전거를 갖고 가는 것이다.
자전거 여행!’ 하면 자전거(自轉車)를 타고 집에서 떠나 목적지를 갔다가 자전거를 타고 집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 정석이겠지만, 미수(米壽)가 가까운 이 나이에 어찌 그런 무모한 도전을 할 수 있겠는가.
고양시 일산에서 충청북도 옥천까지는 건강한 젊은 자전거 메니아도 힘든 먼 곳이기에 하는 말이다.
게다가 옛날과 시절이 달라져 원거리 자전거 여행이 가능한 세상이 되었다.
그래서 그 동안 자전거 여행을 위해서 준비하여 베란다에 곱게 모셔 두었던 20kg의 영제 접이식 자전거를 타고 전철(電鐵)을 타러 갔다.
백석역에 내려 고양버스터미널에서 대전(大田) 행 버스를 갈아타기 위해서다. 집에서 떠나올 때 혹시나 버스 기사가 시비를 걸어오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두 말 없이 트렁크 문을 활짝 열어준다.
대전(大田)에 도착하여 환승한 옥천(沃川)까지 가는 시외버스에서는 다행히 두 자리를 차지할 수가 있어 편히 갈 수가 있었다.
옥천 읍내에서 하차하여 성묘(省墓)를 하러 자전거를 타고 산에 오르려고 하였더니 갑자기 닥쳐온 무더위가 무리를 하지 말라고 말리는 듯하여 택시를 타기로 했다.
그렇게 대중교통을 주로 하여 갈 바에야 무엇 하러 번잡하게 자전거를 가지고 여행을 떠나느냐고 묻는 이 있다면 이렇게 말해 주고 싶다, 오늘 나의 자전거 여행의 목적은 대중교통과 접목한 자전거 여행의 편리와 불편의 이모저모를 점검해 보기 위한 것이라고-.
나는 아직 나의 힘이 남아 있을 때 한국의 곳곳의 아름다움을 찾아 무엇이 어떻게 아름다운가. 그리고 그곳 그 이름에는 어떤 아름다운 전설이 전하여 오는가를 찾아 정리하여 글로 남기고 세상을 떠나고 싶은 꿈을 갖고 산다.
나는 한반도의 수 많은 섬에 가서 섬의 곳곳을 시간의 제약 없이 둘러보고 싶다. 산기슭의 사찰을 찾아 일주문서 십리도 넘는 길의 오가는 시간을 절약하고도 싶다.
다시 오기 어려운 부근의 명승지를 생략하고 돌아오지 말고 남보다 더 많이 둘러보는 방법이 무엇인가 생각하다 보니 자전거 이외에는 방법이 없는 것 같았다.
낯선 도시의 곳곳의 명승지를 대중교통을 타고 가서 자전거로 그 곳곳을 누비며 그 고장을 탐구하고 싶다.
이런 일은 승용차나 택시를 이용해서도 불가능한 세계로 대중교통인 버스나 전철이나 기차의 좌석까지 자전거를 들고 탈 수 있어냐만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부모가 돌아가시자 우리는 대전 대덕군 구즉면 선산에 모셨다.
그리고 우리 5 남매의 마음을 모아 상석(床石)과 비석(碑石)과 망주석(望柱石)까지 세우며 생전에 못다한 효를 다하려고 나름대로 노력하였다. 그러다 10여 년쯤 지나다 보니, 어느 자식 하나가 가면 다른 형제들은 이를 핑계하여 생략하더니, 어떤 해는 불효스럽게도 성묘를 한 사람도 다녀 오지 않는 해가 자주 속절없이 그냥 지나가 마음을 아프게 하였다.
그도 그럴 것이 솔직히 말해서 충남 대덕군 구즉면 둔곡리는 수도권에서는 대중버스를 이용하여서는 당일로 오가기 힘든 곳이고, 자가용 승용차는 한 대만 가도 통행료, 기름 값 등을 합해서 거금이 드는데다가 그보다 그곳 산직이 집을 찾아 수십만 원을 주고 와야 하는 것이 부담이 되기 때문이었다.
거기에다 조부모남 묘소는 충남 논산(論山)에 있고, 부모 묘소는 충남 대전 대덕군(大德(郡)이라서 두곳을 매년 다닌다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애써 찾아 뵈온 묘가 잘 다듬어 지지 못한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었다.
그래서 2년 전에 큰맘 먹고 나의 생전(生前)에 꼭 하고 가겠다는 벼르던 대로 옥천(沃川) 종중 납골묘 한 자리를 구하여 함께 모시게 된 것이다.그 납골묘에 여분이 있어 우리 형제 내외의 납골함까지 만들어 놓고 비석까지 새겨 놓았으니 우리는 종중 묘에 영원한 안식처를 마련하여 죽어서도 조부모와 부모를 모시며 함께 편히 잠들 수 있는 행복한 사람이 되었다.
묘에 이르러 택시를 보내 놓고 간단하나마 제수를 차려 놓고 절을 올렸다. 그리고 독축(讀祝) 대신 '어버이 날'을 맞아 쓴 나의 졸시(拙詩)를 낭독해 드렸다.
어버이 가실 제 부름마저 거두시니
어머니, 아버지! 어디 다시 불러볼까
불러도
대답 없으신
아
버지!
어
머니!
헌작(獻爵)한 술은 무덤에 뿌리지 않고 모아서 멀리 버렸다.
요즈음 기승을 부린다는 산 돼지가 막걸리 냄새에 묘을 파헤친다는 말을 들어서다.
그리곤 아버지 어머니를 부르며 한 잔 두 잔 마시며 한참을 보냈다. 승용차를 이용하여 왔을 때는 운전으로 한 잔도 음복(飮福)을 할 수 없었고, 택시를 이용했을 때는 차편 때문에 5분도 되기 전에 묘소를 떠나야 했다.
이렇게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는 것은 오직 자전거로 온 덕분이었다.
자전거를 타고 옥천읍을 향했다. 산이라서 산소에서 읍내까지는 페달을 거의 밟지 않아도 되는 내림길이어서 삽상한 바람을 헤치며 하산할 수 있었다.
마음 같아서는 계획한 대로 읍내의 '정지용 문학관'이나,' 육영수여사 생가'를 둘러보고 싶었으나 벌써 시간은 늦은 4시를 넘은 시간이라서 정지용 시인이 걸었을 옥천읍이나 구경하자고 라이딩하여 가다 보니 ‘향수 공원(鄕愁公園)’이 있다.
옥천읍에서는 어디 가든지 정지용(鄭芝溶) 시인이 살아 있었다.